6일 성명서..."논의가 행정적 절차보다 정치적 효과에 초점 맞춰져 있다"
[수원=뉴스핌] 박노훈 기자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노동조합(이하 경과원 노조)은 최근 경기도가 추진 중인 경과원 파주 이전 논의가 행정적 준비와 제도적 기반 없이 진행되고 있다며 6일 성명서를 발표했다.
![]() |
| 경과원 로비에 걸려 있던 이전 반대 현수막. [사진=경과원 노조] |
성명서를 통해 경과원 노조는 "책임 주체와 제도 기반이 부재한 이전 추진은 실패로 귀결될 것"이라며 "결국 피해는 직원과 도민에게 돌아간다"고 주장했다.
경과원 노조는 경기도 조례와 지원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추진되는 이전은 행정 공백을 초래하며, 기관 안정성을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경과원 노조는 추진 주체의 부재를 핵심 문제로 지적했다.
경기도는 공공기관 이전이라는 중대한 사안을 추진하면서도 구체적 실행 조직이나 컨트롤타워를 마련하지 않았고, 파주시는 토지 제공 의사를 언급하면서도 실제 매입 부담을 기관에 전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토지를 '제공'한다는 표현과 달리 경과원이 자체 예산으로 매입해야 하는 구조는 재정이 열악한 기관에 과도한 부담을 떠넘기는 것"이란 지적이다.
경과원 노조 관계자는 "특히 이번 논의가 행정적 절차보다 정치적 효과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일부 정치권 인사들이 공공기관 이전을 개인 성과처럼 포장하면서도 구체적인 제도 개선이나 재정 지원 대책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정치적 소비 구조는 공공기관 이전의 본래 목적을 훼손하고 행정적 혼란만 키운다는 게 경과원 노조의 입장이다.
또 공공기관 이전이 단순히 지역 균형발전의 수단으로만 소비되지 않도록, 행정·재정 지원 체계 마련을 촉구했다.
권혁규 경과원 노조위원장은 "경기도 공공기관 이전은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라, 도민의 세금과 기관의 존립이 걸린 중대한 문제"라며 "제도적 기반과 실질적 계획 없이 추진되는 이전은 정치적 이벤트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경과원의 파주 이전이 균형 발전의 목적 달성과 더불어 수천억원의 지역경제 효과가 발생한다면 경기도와 파주시는 진정성 있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야 된다"고 덧붙였다.
ssamdory75@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