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종목

속보

더보기

[무역전쟁] 중미 대립 A주 투자기회는 '농산물 군사공업 황금'

기사입력 : 2018년03월27일 16:58

최종수정 : 2018년03월27일 16:58

A주 하락장 속에도 황금 군사공업 등 관련 종목 강세
중미 대립 격화될수록 주가 상승 기대

[뉴스핌=백진규 기자] 중미 무역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농산물 국방 황금 관련 A주 종목들은 수혜를 입을 것이란 분석이 제기됐다. 불확실성 확대로 대다수 업종이 약세를 보이는 상황에서도 오히려 중국 정부의 정책 방향과 예전 무역분쟁 사례를 참고하면 A주 투자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미중 양국은 최근 경쟁적인 무역 대립을 예고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600억달러에 달하는 관세 부과 계획을 내놓자, 중국 역시 미국산 돼지고기 철강 농산품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은 앞으로 대두(콩) 자동차 등 관세 부과 품목을 다각화 할 수 있다며 엄포를 놓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중국에 25%에 달하는 고관세를 부과할 경우 중국 성장률도 0.1%포인트 이상 하락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주요 증권사들은 무역전쟁으로 인한 증시 혼란이 오히려 A주 투자자들에게 기회를 주는 측면도 있다고 조언했다.

<이미지=바이두>

◆ 핵심 수혜종목은 농산물 돈육 사료

중국이 활용할 수 있는 대응카드로 가장 먼저 꼽히는 것이 대두를 포함한 농산물이다. 중국은 미국의 최대 농산물 수출 시장으로, 지난해 중국이 미국으로부터 수입한 대두는 모두 140억달러어치에 달한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중국이 대두에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경우 사료값이 오르고 다시 인플레에 직면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이에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環球時報)는 “대두는 수입선 대체가 쉬운 품목”이라며 "미국산 대두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대신 브라질 남미 러시아 등 국가에서 대두를 수입해도 중국은 아무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중국 인허증권(銀河證券)등 주요 증권사들은 하가오커(哈高科, 600095.SH) 둥링궈지(東淩國際 000893.SZ) 덩하이중예(登海種業 002041.SZ) 등 대두 관련 종목과 민허구펀(民和股份 002234.SZ) 중눙리화(中農立華, 603970.SH) 하이다지퇀(海大集團, 002311.SZ) 등 사료 종목을 수혜주로 꼽았다.

또한 돼지고기 가격 인상으로 다캉눙예(大康農業, 002505.SZ) 정방커지(正邦科技, 002157.SZ) 원스구펀(溫氏股份, 300498SZ) 등 양돈 종목 주가도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허증권은 “무역전쟁이 심화될 경우 식량안전을 강화하면서 농산물 가격이 불안정해지고 관련 주가도 급등할 수 있다”며 “중국이 농업 분야에서 입는 타격은 미국의 손해에 비해 미미한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미지=바이두>

◆ 중미 대립 격화에 군사공업 항공산업도 수혜

26일 상하이지수가 0.6% 하락한 상황에서도 군사공업 업종의 주가상승률은 5%대를 넘어섰다. 이에 중국 화상펀드(華商基金)는 “경제 주기 등 외부 변동성에 가장 영향을 덜 받는 종목이 군사공업인데다, 중미 갈등이 심화되면서 자연스럽게 수요가 확대될 것이란 기대감이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무역갈등이 심화되면서 중국이 군사훈련을 늘리는 것도 군사공업 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최근 중국은 일본 미야코해협과 남중국해에서 실전훈련을 실시하며 주변국과의 긴장을 높이고 있다.

리커창 총리는 양회(兩會)에서 올해 국방비를 지난해보다 8.1% 늘어난 1조1000억위안(약 192조원)으로 책정한다고 밝혔다. 리 총리는 “국가안보 환경에 심각한 변화가 일어난 상황에서”라며 국방력 강화를 강조했다.

중타이증권(中泰證券)등 주요 증권사들은 화리촹퉁(華力創通, 300045.SZ) 치이얼(七一二(603712.SH) 전신커지(振芯科技, 300101.SZ) 중항페이지(中航飛機, 000758.SZ) 등을 국방관련 수혜주로 제시했다.

국방산업과 함께 항공산업도 강세를 보일 전망이다. 중국의 항공기 수요는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 보잉사는 앞으로 2036년까지 1조1000억달러의 항공기를 중국에 판매할 계획을 세워놓은 상황이다.

러우지웨이(樓繼偉) 전 중국 재무부장은 24일 중국발전포럼에서 “내가 만약 무역보복조치를 계획한다면 대두 자동차 항공기를 순서대로 공격(관세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중항증권(中航證券)은 중궈궈항(中國國航, 601111.SH) 난팡항쿵(南方航空, 600029.SH) 둥팡항쿵(東方航空, 600115.SH) 등 주요 항공사를 유망 종목으로 꼽았다.

◆ 황금 등 안전자산도 인기

<이미지=바이두>

무역전쟁이 가시화되면서 가장 먼저 주가가 오른 것은 황금 종목이었다. 불확실성 증대에 따라 안전자산이 금 가격이 오를 것이란 기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22일(현지시간) 미국이 최대 600억달러 규모의 관세 부과 계획을 내놓자, 이튿날 대표적인 황금 테마주 시부황금(西部黃金, 601069.SH)과 룽화스예(榮華實業, 600311.SH)는 상한가를 기록했다. 또한 산둥황금(山東黃金, 600547.SH) 츠펑황금(赤峰黃金, 600988.SH) 중진황금(中金黃金, 600489.SH) 역시 5% 이상 올랐다.

중위안증권(中原證券)은 중미 무역분쟁은 예전부터 지속돼 왔으며 지난 사례를 돌이켜 볼 때 단기적으로 황금 귀금속 채권 등 안전자산이 강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뉴스핌 Newspim] 백진규 기자 (bjgchina@newspim.com)

GAM - 해외주식 투자 도우미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사직 전공의 2924명 복귀 의사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20일부터 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추가 모집이 시작된 가운데, 최소 사직 전공의 2924명이 복귀 의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대한수련병원협의회(협의회)에 따르면 사직 전공의에 복귀 의향을 묻는 설문조사에 참여한 인원 4794명 중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2924명(61.5%)으로 집계됐다.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 2924명 중 즉시 복귀를 희망한 사직 전공의는 719명(15.1%)이다.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입대한 사직자의 제대 후 복귀 TO(정원) 보장을 조건으로 복귀를 희망한 사직 전공의는 2205명(46.4%)으로 집계됐다. 복지부는 이달 말까지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전공의는 3월과 9월 상·하반기로 나눠 수련 모집을 하는데 의료계 요청에 따라 추가 복귀 길을 열어준 셈이다. 복지부는 사직전공의가 요구한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입대한 사직자의 제대 후 TO 보장을 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에 대해서는 기존 발표한 의료개혁 과제 중 구체화가 필요한 과제에 대해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의 경우는 오는 6월 1일부터 수련이 개시되면 인정된다. 군입대 전공의를 포함한 복귀 전공의 TO 보장도 수용됐다. 원 소속 병원·과목·연차의 TO가 기존 승급자 등으로 이미 채워진 경우도 사직자가 복귀하면 정원을 추가 인정한다. 다만, 이미 군입대한 전공의가 제대한 후 수련병원으로 복귀하는 문제는 향후 의료 인력, 병력 자원 수급 상황, 기존 복귀자와 형평성 등을 고려해 검토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문제는 전공의 약 3000명이 복귀해도 전공의 출근자 비율은 2023년 전공의 임용대상자와 대비하면 절반에 못 미친다. 2023년 전공의 임용대상자는 1만3531명이다. 올해 3월 사직전공의 전체 인원은 1만1713명으로 재작년 대비 86.6%에 해당하는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고 있다. 만일 3000명이 복귀할 경우 2023년 대비 전공의 비율은 35.6%다. 복지부는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병원협회 등 6개 단체가 전문의 수급 차질을 막고 의료공백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사직전공의의 수련 복귀를 위한 추가 모집을 열어줄 것을 건의했다"며 "고심 끝에 수련 현장 건의를 받아들여 5월 중 수련 재개를 원하는 전공의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수련에 복귀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5-20 14:25
사진
SKT 재점화 '위약금 면제' 논의 [서울=뉴스핌] 김영은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해킹 사고로 유출된 정보가 당초 예상보다 더 많았던 것으로 밝혀지자, 유심 해킹 피해 고객 위약금 면제 논의에 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19일 'SKT 유심 해킹 사고 민·관 합동 조사단(민관합동조사단)'의 2차 조사 결과 브리핑에 따르면, 조사단은 SKT 서버에서 총 25종의 악성코드와 23대의 감염 서버를 추가로 확인했다. 조사단은 이번 사고로 약 2695만건 이상의 유심 정보(전화번호,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번호인 IMSI 등 약 9.82GB 규모) 유출을 확인했다.  조사단은 리눅스 서버 3만여대를 포함한 전체 서버로 점검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조사단은 일부 서버에서 개인정보(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이메일 등)와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 약 29만건이 포함된 파일을 발견해, 해당 정보의 유출 여부에 대해 추가 조사를 진행한다. 류정환 SKT 네트워크인프라센터장이 19일 데일리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정승원 기자] SKT를 이용하며 '2년 약정' 계약을 맺은 고객 김모(35)씨는 이날 통신사 변경 상담을 신청했다. 김씨는 "유심 정보 해킹 피해를 당한 피해자의 입장이지만, 약정 기간이 약 1년 3개월 남았다는 이유로 10만원을 내야 한다고 통보받았다"며 "SKT가 고객 신뢰를 회복하려면, 고객의 위약금 지불 부담부터 덜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비슷한 처지의 박모(27)씨도 약정(2년 약정) 만료를 약 1년 앞두고, 위약금 8만원을 안내받은 상황이다. 박씨는 "일 때문에 바빠서 전화 상담을 받았는데, 자세한 위약금 도출 과정은 물어보지 못했다"며 "해킹 피해로 금융 범죄 피해는 당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는데, 위약금 부담에 통신사 변경도 마음대로 하지 못해 억울하다"고 말했다.  SKT는 전날 이 같은 고객 의견을 이사회에 전달하기 위해 SKT 고객신뢰위원회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고객신뢰위원회는 최근 해킹 사고로 손상된 고객 신뢰를 회복하고, 장기적으로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출범한 외부 전문가 중심의 독립 기구다.  홍승태 SKT고객가치혁신실장은 "위약금 면제와 관련해 고객의 생각을 정리해 회사에 전달하는 등 고객 시각을 반영하는 역할을 위원회가 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SKT 측은 위원회가 직접 위약금 면제를 결정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 위약금 면제의 쟁점은 'SKT 귀책사유'…정부·법조계도 주목 [서울=뉴스핌] 김영은 인턴기자 = LTE·5G 이동전화 서비스 등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한 SKT 이용약관 제 43조(위약금 면제)에 따르면 '회사의 귀책 사유로 (고객이) 계약을 해지할 경우'가 위약금 면제 조건으로 명시돼 있다. [사진=SKT 약관 캡처] 2025.05.19 yek105@newspim.com 위약금 면제 여부를 결정할 핵심 기준은 'SKT의 귀책사유 여부'가 될 전망이다. LTE·5G 이동전화 서비스 등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한 SKT 이용약관 제 43조(위약금 면제)에 따르면 '회사의 귀책사유로 (고객이) 계약을 해지할 경우'가 위약금 면제 조건으로 명시돼 있다.  일각에서는 해당 조항이 현실화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약관에서 말하는 귀책 사유란 계약상 급부 의무를 이행하지 못한 경우를 의미한다"며 "SKT는 통화나 데이터 등 통신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한 만큼, 이번 사건이 위약금 면제 조건에는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민관합동조사단은 현재 회사의 귀책사유를 가리는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조사단은 현재 유심 해킹 사고의 원인 및 경위, 피해 규모, 사내 보안 관리 실태, 사고 대응 과정의 적정성 등을 조사 중이다.  정부는 최종 조사 결과에 따라 위약금 면제 등 책임의 경중을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지난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월례 브리핑에서 "4개 법무법인에 의뢰한 검토 결과를 받아봤지만 아직은 명확하게 답하기 어렵다"며 "결국은 조사단의 결과를 보고 나서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법무법인은 SKT의 ▲고의 또는 과실 여부 ▲정보보호 기술 수준 ▲보안조치의 적정성 등을 기준으로 귀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다. 정부는 이 같은 기준과 조사단 결과를 고려해, 행정 행위 수준을 결정지을 전망이다.  ◆ "6개월 내 분쟁조정 결과 나올 것"…소비자 집단행동은 '속도' [서울=뉴스핌] 김영은 인턴기자 = SKT 유심 정보 유출 사태 한국소비자원 집단분쟁조정신청서 [사진=이철우 변호사] 2025.05.19 yek105@newspim.com 정부 조사가 길어지는 사이, 일부 고객은 집단으로 행동에 나서고 있다. SKT 이용 고객 59명은 지난 9일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에 통신사 이동 시 위약금 면제 및 1인당 30만원 배상을 골자로 하는 집단 분쟁 조정을 신청했다.  대표 신청자인 이철우 문화법률사무소 변호사는 이날 "현재 집단분쟁조정 신청이 접수돼 사건 번호가 부여됐으며, 전체 절차는 6개월 이내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며 "전체 소비자에게 위약금 면제를 비롯한 어떤 보상안이 마련된다는 전제하에 신청 금액의 일부가 지급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 변호사는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약관법) 제5조 제2항("약관의 조항이 명확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조항은 작성자에게 불리하게 해석한다")에 따라 소비자분쟁조정위가 SKT에 불리하게 약관을 해석해 위약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현재 SKT의 약관에는 '회사의 귀책사유로 (고객이) 계약을 해지할 경우'만 명시돼 있을 뿐, 귀책사유가 구체적으로 규정돼있지 않다.  이 변호사는 "핵심은 '회사 귀책사유'에 대한 해석이다"라며 "SKT 측은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할 정도의 장애'가 있어야 회사의 귀책사유가 성립한다고 주장하겠지만, '약관법 제5조 제2항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에 따라, 귀책사유에 대한 부연 설명이 없을 때는 소비자에게 유리하게 해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국회입법조사처 "SKT 정보 유출 계기로 '위약금 면제' 제도화해야" [서울=뉴스핌] 김영은 인턴기자 = 통신사 해킹 사고 사후대응의 문제점과 입법과제 [사진=국회입법조사처 캡처] 2025.05.19 yek105@newspim.com 국회입법조사처는 'SKT의 귀책사유'가 인정되기만 한다면 약관을 근거로 위약금을 면제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이동통신사 스스로 위약금을 면제하는 것이 법적으로 가능한지'를 묻는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더불어민주당)의 질문에 "SKT가 가입 약관에서 '회사의 귀책사유로 인해 고객의 계약을 해지할 경우' 위약금 납부 의무를 면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번 해킹사태가 SKT 귀책사유로 인한 서비스 문제라면 이 조항을 근거로 위약금을 면제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통신사 해킹 사고 사후대응의 문제점과 입법과제' 보고서를 통해 통신사 해킹 사고와 관련해 피해 소비자를 위한 위약금 면제를 법제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입법조사처는 "(유심 해킹 사태 이후) SKT가 뒤늦게 유심 무상 교환 조치를 발표하고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자에게 피해가 발생할 경우 보상하겠다는 모호한 입장을 취한 것도 전기통신사업법,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법에 피해자에 대한 실질적 구제 조치가 미흡한 현실을 보여준다"며 "피해자가 통신사 이동을 원할 경우, 위약금을 면제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박소영 변호사는 이날 "구체적으로는 정보통신망법의 '침해 사고 대응' 부분, 혹은 전기통신사업법상 '이용자 보호'나 '사업자 의무' 조항에 위약금 면제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며 "또, 보고서에는 없지만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소비자 보호 지침도 다시 검토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2차 조사 결과 브리핑을 마친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SKT 유심 해킹 사태 대응에 있어 철저한 조사, 투명한 절차, 그리고 국민 우선의 정보 공개라는 세 가지 원칙으로 임하고 있다"며 "절대 은폐하거나 축소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사단은 오는 6월 말까지 IMEI 등 민감정보 유출 여부, 전체 서버 추가 점검, 해킹 경위와 사내 보안 실태, 회사 귀책사유 등 핵심 쟁점에 대해 조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yek105@newspim.com 2025-05-19 20:5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