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경제 과학기술

속보

더보기

[VivaTech 2025] ⑪ WeDrive "Mobility Innovation Where Every Journey Becomes Business Data"

기사입력 : 2025년06월04일 18:29

최종수정 : 2025년06월04일 18:29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Sejong=NewsPim] Reporter Kyoungtae Yi = This year, mobility data has established itself as a core asset driving ESG management, cost reduction, and urban infrastructure innovation beyond simple location information. At the center of this transformation stands 'WeDrive.' Based in Incheon Free Economic Zone (Cheongla International City, Songdo International City), WeDrive is a specialized company in 'integrated mobility management solutions' that collects and analyzes vehicle data using only smartphone apps and revolutionizes vehicle operations for various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WeDrive's core solution 'WeDriveBIZ' automatically records and manages vehicle driving history, maintenance records, dispatch situations, and carbon emissions without requiring separate equipment. Drivers only need to install one smartphone app, which provides automatic reports converted to National Tax Service driving log format, business trip expense settlement, and remote vehicle door control functions. Features are particularly specialized for simultaneously managing both corporate vehicles and personal vehicles used for business purposes (Grey Fleet).

SaaS 기반 차량 통합 관리 솔루션 위드라이브비즈 [사진=위드라이브] 2025.06.03 biggerthanseoul@newspim.com

AI-based driving habit analysis and automatic carbon report generation functions become attractive tools for companies pursuing ESG management, and API integration with ERP/accounting systems further enhances work efficiency.

WeDrive declared full-scale European expansion by participating in MWC Barcelona and VivaTech Paris in 2025. Export initiatives targeting US and European markets indicate that overseas demand for smart mobility solutions is beginning in earnest.

Following selection for the NVIDIA Inception program this year, WeDrive is advancing digital twin-based traffic simulation technology, which is expected to create enormous synergy in urban traffic policy, logistics optimization, and smart city design fields.

WeDrive goes beyond being a simple vehicle management tool. When drivers simply turn on the app, driving routes, stop times, and movement patterns are automatically converted to data and collected in crowdsourcing format. This data is converted into core materials for urban data infrastructure such as traffic congestion prediction, disaster response, and tourism route analysis, and is actually being used as a basis for policy formulation by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search institutes.

Participating drivers receive safe driving grade evaluations and point rewards, and WeDrive's unique differentiator is creating a structure where users contribute to urban change beyond simple function provision.

Amid the steep growth of the smart city market, the importance of vehicle operation data is growing increasingly. WeDrive helps companies reduce fuel and maintenance costs through vehicle operation data analysis, and further quantifies ESG performance to simultaneously achiev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nagement efficiency.

WeDrive is expan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monstrations in various applicable fields by introducing WeDriveBIZ to contactless car sharing services in Guam, USA, remote area DRT services for the Military Transportation Command, corporate and business vehicle management for Kumho Petrochemical, and traffic safety campaigns for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and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biggerthanseoul@newspim.com 

 

[VivaTech 2025] ⑪ WeDrive « Innovation de mobilité où chaque trajet devient données d'affaires »

[Sejong=NewsPim] Journaliste Kyoungtae Yi = Cette année, les données de mobilité se sont établies comme un actif central conduisant la gestion ESG, la réduction des coûts et l'innovation de l'infrastructure urbaine au-delà des simples informations de localisation. Au centre de cette transformation se trouve 'WeDrive.' Basée dans la Zone économique libre d'Incheon (Ville internationale de Cheongla, Ville internationale de Songdo), WeDrive est une entreprise spécialisée dans les 'solutions de gestion de mobilité intégrée' qui collecte et analyse les données de véhicules en utilisant seulement des applications smartphone et révolutionne les opérations de véhicules pour diverses entreprises et institutions publiques.

La solution principale de WeDrive 'WeDriveBIZ' enregistre et gère automatiquement l'historique de conduite des véhicules, les dossiers de maintenance, les situations de répartition et les émissions de carbone sans nécessiter d'équipement séparé. Les conducteurs n'ont besoin que d'installer une application smartphone, qui fournit des rapports automatiques convertis au format de journal de conduite du Service national des impôts, le règlement des frais de voyage d'affaires et les fonctions de contrôle à distance des portes de véhicule. Les fonctionnalités sont particulièrement spécialisées pour gérer simultanément les véhicules d'entreprise et les véhicules personnels utilisés à des fins professionnelles (Grey Fleet).

L'analyse des habitudes de conduite basée sur l'IA et les fonctions de génération automatique de rapports carbone deviennent des outils attractifs pour les entreprises poursuivant la gestion ESG, et l'intégration API avec les systèmes ERP/comptabilité améliore davantage l'efficacité du travail.

WeDrive a déclaré une expansion européenne à grande échelle en participant au MWC Barcelone et VivaTech Paris en 2025. Les initiatives d'exportation ciblant les marchés américains et européens indiquent que la demande étrangère pour les solutions de mobilité intelligente commence sérieusement.

Suite à la sélection pour le programme NVIDIA Inception cette année, WeDrive fait progresser la technologie de simulation de trafic basée sur le jumeau numérique, qui devrait créer une énorme synergie dans les domaines de la politique de trafic urbain, l'optimisation logistique et la conception de villes intelligentes.

WeDrive va au-delà d'être un simple outil de gestion de véhicules. Quand les conducteurs allument simplement l'application, les itinéraires de conduite, les temps d'arrêt et les modèles de mouvement sont automatiquement convertis en données et collectés en format crowdsourcing. Ces données sont converties en matériaux centraux pour l'infrastructure de données urbaines telles que la prédiction de congestion de trafic, la réponse aux catastrophes et l'analyse d'itinéraires touristiques, et sont réellement utilisées comme base pour la formulation de politiques par le gouvernement, les gouvernements locaux et les instituts de recherche.

Les conducteurs participants reçoivent des évaluations de niveau de conduite sûre et des récompenses de points, et le différenciateur unique de WeDrive est de créer une structure où les utilisateurs contribuent au changement urbain au-delà de la simple fourniture de fonctions.

Au milieu de la croissance abrupte du marché des villes intelligentes, l'importance des données d'opération de véhicules croît de plus en plus. WeDrive aide les entreprises à réduire les coûts de carburant et de maintenance grâce à l'analyse des données d'opération de véhicules, et quantifie davantage les performances ESG pour atteindre simultanément la responsabilité sociale et l'efficacité de gestion.

WeDrive étend les démonstrations nationales et internationales dans divers domaines applicables en introduisant WeDriveBIZ aux services de partage de voitures sans contact à Guam, USA, services DRT de zones reculées pour le Commandement de transport militaire, gestion de véhicules d'entreprise et d'affaires pour Kumho Petrochemical, et campagnes de sécurité routière pour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et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biggerthanseoul@newspim.com 

※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sponsorship from the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내란 특검 "박성재 영장 기각 납득 어렵다"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내란 특별검사(특검)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되자 재청구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박지영 특검보는 15일 브리핑에서 "법원의 결정은 존중돼야 한다고 생각하나 박 전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 기각은 법무부 장관의 지위나 헌법적 책무, 사안의 중대성 등을 고려할 때 납득하기 어렵다. 특검은 신속히 법원의 판단을 다시 받는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사진=뉴스핌DB] 박 특검보는 "특히 기각 사유로 언급한 피의자가 위법성을 인식하게 된 경위나 피의자가 인식한 위법성의 구체적 내용, 피의자가 객관적으로 취한 조치의 위법성의 존부나 정도에 대해 다툴 여지가 있고 충분한 공방을 통해 가려질 필요가 있다는 부분은 수긍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12·3 비상계엄 선포 시 군으로 사회 질서를 유지할 상황, 비상계엄을 선포할 실체적 요건을 갖추고 있지 않았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공지의 사실"이라며 "피의자가 객관적 조치를 취할 당시 비상계엄의 위법성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은 다툼의 여지가 없어 위법성 인식은 공방에 필요가 없는 명백한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특검은 추가 보강 수사 등에 대해선 조금 더 검토하겠다는 계획이다. 박 특검보는 "(박 전 장관의) 위법성의 구체적인 내용이라든가 본인이 그 위법성을 인식하고 있었다고 볼만한 다른 사실관계는 충분히 현출돼 있다"며 "위법성을 인식했다라고 볼만한 사전에 여러 가지 행위나 행태는 범죄 사실로도 그렇고 증거로도 제출이 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박 특검보는 박 전 장관이나 하급자 추가 조사 가능성에 대해 "(증거를) 보완하는 조치도 저희가 생각해 볼 수 있겠다"며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한지는 내부적인 논의를 통해 결정이 돼야할 것"이라고 전했다. hyun9@newspim.com 2025-10-15 12:24
사진
1달러 테더 '5700원·1600원' 제각각 거래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대표적인 달러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 가격이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서 크게 널뛰었다. 한때 가상자산 시장이 흔들리자 1600원에서 5700원까지 오가며 심한 변동성을 나타낸 것이다. 달러와 1:1 연동돼 '안전성'을 강조했지만 정작 국내 투자자들에게는 불안정적인 자산이 된 셈이다. 14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전 6시쯤 업비트에서 거래되는 테더 가격이 1655원까지 치솟았다. 당시 미국 트럼프대통령이 희토류 수출 통제에 맞서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자산이 급락했고 이에 따라 스테이블 코인인 테더에 수요가 몰린 여파다. 빗썸에서 거래된 테더 시세창. [사진= 빗썸 갈무리] 테더는 달러와 1:1로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이다. 이때 달러/원 환율은 1436원이었지만 김치프리미엄이 10% 이상 붙으면서 테더 가격이 환율 이상으로 벌어졌다. 김치프리미엄은 국내와 해외거래소 간 가상자산 가격 차이를 의미한다. 같은 시각 빗썸에서는 테더 가격이 5755원까지 오르는 이상 급등 현상도 발생했다. 달러/원 환율을 상회한 것은 물론 업비트를 비롯한 다른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거래 가격 대비 3배 이상 뛰었다. 특히 빗썸의 경우 렌딩(코인 대여) 서비스 청산 과정에서 이 같은 급등 현상이 발생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빗썸의 렌딩서비스는 대여한 메이저 자산의 시세가 급등락해 자동상환 레벨에 도달하면 모두 시장가로 매도되는 구조다. 이후 확보된 원화로 대여했던 가상자산을 시장가로 매수해 상환하게 된다. 청산 과정에서 시장가 매수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면서 테더 가격을 계속 밀어 올렸다는 관측이다. 테더 가격이 급격히 뛰면서 빗썸에서 테더를 대여한 일부 투자자들은 예기치 못한 청산 사태를 겪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관련 빗썸은 상환 매매 발생 시 시세 왜곡 상태를 방지하는 '도미노 청산 방지 시스템'의 작동 여부 등을 점검하고 후속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통상 달러 등 실물자산과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은 가상자산 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꼽혀왔다. 테더 또한 국내 시장에서 달러 자산의 저장 및 거래 수단으로 활용도가 높게 평가됐다. 그런데 이번 변동성 장세에서 국내 거래소의 테더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급등, 사실상 '스테이블코인=안전성'이라는 개념이 깨진 셈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테더(USDT) 는 스테이블코인이기 때문에 다른 코인 가격이 변하더라도 가치는 유지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테더 수요가 높은 국내 하락장에는 1달러보다 가격이 높아지는 모습을 종종 보인다"며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파생상품을 사용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거래 청산을 막기 위해 추가 테더 수요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의 주의도 요구된다. 국내시장에서 테더를 포함한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공급 대비 수요가 순간적으로 크게 앞서면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상황이 또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 관련해 이날 기준 빗썸 내 대여금액 1위 종목은 테더로 대여 금액은 933억원이 달한다. 이는 2위인 비트코인 대여금액(218억원)의 4배 수준이다. 코인 대여 서비스 상위 자산인만큼 변동성 위기 시 청산 위험도 높게 평가된다. 김민승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해외 거래소에서 가상자산 급등락이 발생할 때 국내 거래소에서 해당 가격변동이 100% 반영되지 않아 김치프리미엄 또는 역프리미엄이 발생하고 여기에는 테더도 포함된다"며 "이번 폭락 사태의 경우 국내 거래소의 원화 거래가격이 폭락을 전부 반영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김치프리미엄이 붙게 됐다"고 설명했다. romeok@newspim.com 2025-10-14 06:0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