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치 7배 확대...로보택시·AI 로봇 실적 달성 조건
7년 반은 팔 수 없어…후계자 구상도 조건
"목표 달성 가능성 낮고, 논란 불가피" 지적도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향후 10년간 최대 1조 달러(약 1350조원) 규모의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초대형 인센티브 플랜이 5일(현지시간) 공개됐다. 다만 조건은 전례 없이 까다롭다.
테슬라의 기업가치를 현재(약 1조900억 달러)에서 8조5000억 달러(1경원)까지 7배 넘게 끌어올리고, 로보택시와 인공지능(AI) 로봇 등 신사업에서도 실적을 달성해야 한다.
![]() |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사진=블룸버그] 2022.04.06 mj72284@newspim.com |
◆ '천문학적 목표' 담은 12개 트랜치
테슬라가 미국 증권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이번 보상안은 12개 구간(트랜치)으로 나뉘며, 단계별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머스크에게 주식이 지급된다.
첫 단계는 시가총액 2조 달러 돌파와 연간 2000만 대 차량 인도 달성이다. 테슬라의 지난해 인도량은 200만 대에도 못 미쳤다. 여기에 로보택시 100만 대 상용화, AI 휴머노이드 로봇 100만 대 판매 같은 목표도 포함됐다.
최종 목표는 시총 8조5000억 달러, 조정상각전영업이익(EBITDA) 4000억 달러로, 작년 실적(166억 달러)의 24배 수준이다.
보상 구조는 단계별로 나뉘어 있다. 각 단계는 테슬라 전체 주식의 1%에 해당하는 약 3500만 주로 책정됐으며,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머스크는 해당 지분을 받을 수 있다. 이 모든 12개 단계를 충족할 경우, 머스크가 손에 쥐게 되는 총 주식은 4억2300만 주에 달한다. 이는 단순히 보상 규모를 넘어, 머스크의 테슬라 내 지배력을 크게 확대할 수 있는 잠재력을 담고 있다.
◆ 7년 반은 팔 수 없어…후계자 구상도 조건
머스크는 보상을 받더라도 7년 6개월간 주식을 매도할 수 없으며, 대규모 처분을 원할 경우 이사회 승인을 받아야 한다. 또한 플랜 말기(2035년 무렵)에는 CEO 승계 구상안을 마련하는 것이 11~12번째 트랜치 조건으로 붙었다.
테슬라 이사회는 투자자 서한에서 "머스크를 붙잡고 장기 성과를 독려하는 것이 테슬라가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핵심"이라며 이번 계획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 논란 재점화 불가피
머스크의 2018년 보상 패키지는 테슬라의 기업가치를 590억 달러에서 6500억 달러 이상으로 키우며 560억 달러 규모로 전액 실행됐다. 하지만 지난해 델라웨어 법원은 '과도하다'는 이유로 무효 판결을 내렸다. 테슬라는 현재 항소 중이며, 이번 새로운 보상안은 사실상 대체 성격이다.
머스크는 이미 테슬라·스페이스X·xAI·뉴럴링크 등으로 3740억 달러 규모 자산을 보유한 세계 최고 부호다. 그럼에도 그는 "적어도 20% 지분을 가져야 테슬라가 외부 세력이나 인수 시도에 흔들리지 않고, AI·로봇 등 핵심 기술을 지킬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이번 안건은 오는 11월 6일 주주총회에서 표결에 부쳐진다. 과반 찬성을 얻을 경우 4억2300만 주 신주가 발행돼 기존 32억 주에 더해진다. 머스크와 이사로 있는 동생 킴벌도 이번에는 법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새로운 보상안이 공개되며 테슬라(NYSE:TSLA)의 주가는 개장 전 약 2% 상승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같은 보상 계획이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성이 낮다며 회의적인 시각을 내비쳤다.
한 시장 관계자는 "투자자들의 지지를 얻더라도 '1조 달러 보상'은 사회적 논란을 다시 불러올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