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소비 감소 해석에 기재부 "착시일 뿐"
추석 이연·스마트폰 기저효과 주요 원인
'소비쿠폰' 효과↑…사용처 매출 반등 견인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지난 8월 소매판매 감소(-2.4%)를 두고 '소비 둔화' 우려가 쏟아지자, 정부가 일시적 착시일 뿐이라며 곧장 반박에 나섰다. 추석이 10월로 밀린 영향과 7월 신제품 출시로 인한 기저효과를 감안하지 않은 단순 해석이라는 것이다.
기획재정부는 1일 설명자료를 통해 7~8월을 합쳐 보면 소매판매와 서비스업이 모두 플러스로 돌아섰다며, 3분기 전체로는 소매판매가 14분기 만에 플러스 전환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2분기 전기 대비 -0.9%였던 소매판매는 7~8월 들어 1.9% 증가로 반등했다. 같은 기간 서비스업 생산도 전기 대비 0.4%, 전년 동기 대비 1.6% 늘었다.
정부가 이런 분석을 서둘러 내놓은 배경에는 8월 수치만 떼어 해석할 경우 정책 효과가 무색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존재한다는 해석이다. 통계상으로는 8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2.4% 줄면서 뚜렷한 감소세처럼 관측된다. 하지만 추석 선물 수요가 10월로 이연됐고, 7월 갤럭시Z 폴드·플립7 출시로 통신·컴퓨터 판매가 전년 대비 17% 급증했던 기저가 반영된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기재부의 해명이다.
![]() |
정부는 또 소비심리와 카드 매출을 들어 '소비 위축론'이 과장됐다고 주장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7~9월 3개월 연속 110을 넘어 7년 8개월 만의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개인카드 승인액도 9월(1~27일) 기준 전년 동기 대비 5.9% 늘어나 7월 수준을 회복했다.
특히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가 뚜렷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쿠폰 지급 직후 6주간 사용 업종 매출은 직전 2주 대비 평균 4.93% 증가했고, 약 2조1000억원 규모의 신규 매출이 창출됐다. 지급액 5조원의 42.5%가 추가 소비로 이어진 셈이다. 의류·잡화·미용(12.1%)과 음식·음료(6.4%) 등 생활 밀접 업종에서 효과가 컸고, 지급 3주차 이후에는 숙박·여행·문화 소비도 개선됐다.
김재훈 기재부 경제정책국장은 "8월 소매판매 감소가 소비쿠폰 효과가 사라진 결과는 아니다"라며 "7~8월 흐름과 9월 카드 매출 추이를 감안할 때 3분기 전체로는 소매판매가 14분기 만에 플러스로 전환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기획재정부 전경. 2025.05.09 |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