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김병주 '국민·국회' 기만, 파렴치한 먹튀"
민병덕·신장식 의원, MBK 제재 법안들 발의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국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홈플러스 사태에 대해 사과했지만 정치권을 중심으로 김 회장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과 함께 MBK 제재 필요성이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 회장이 홈플러스 경영 책임에 대해선 '회피'로 일관하고 사익은 챙기면서 손실은 사회회시키는 '먹튀' 행각을 반복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지난 15일 최고위원회에서 김병주 회장이 입법부를 우습게 보고 국민과 국회를 기만했다고 비판했다. 김 원내대표는 "지난 달에 김 회장이 점포 폐업을 유예하겠다고 약속했는데 정무위 국감에서 번복했다"며 "다음달 10일까지 홈플러스 인수자를 찾는 건 불가능하니 이를 명분으로 손 털고 떠나려는 파렴치한 '먹튀' 시나리오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회장은 정무위 국감에서 사재 5000억원 출연을 강조했지만, 실제로는 조건부이거나 보증에 불과하다"면서 "자기 돈 한 푼 제대로 쓰지 않고 사회적 책임을 운운하는 뻔뻔함을 결코 용납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원내대표는 "공정위와 금융위, 금감원 등 관계기관에 MBK에 대한 제재를 촉구하며, 국민연금과 금융기관들도 스튜어드십 원칙과 사회적 책임투자 원칙에 따라 MBK 투자금 회수를 적극 검토해 줄 것"을 촉구했다.
![]()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김병주(오른쪽) MBK파트너스 회장이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 2025.10.14 choipix16@newspim.com |
앞서 김 회장은 국회 정무위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해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와 관련 "자신은 의사 결정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또한 사재출연 계획 등 변제 계획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면서 "우리 법인과 개인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부산지검장 출신 김기동 로백스 대표 변호사는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은 김병주 회장의 지시를 받아 홈플러스와 롯데카드 임직원들에게 업무지시 및 의사결정 과정에 개입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최종 의사결정권자인 김병주 회장의 승인 없이는 실행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무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MBK를 제재하기 위한 법안들을 발의했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사모펀드를 공시의무 대상에 포함하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사모펀드를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해 기업을 인수하거나 경영에 참여할 경우에도 지배구조·재무상황·경영변화 등 주요 정보를 공개하도록 해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 시장 감시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은 사모펀드의 피인수 기업 순자산 차입비율을 기존 400%에서 200%로 축소하는 내용의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내놨다. 신 의원은 "홈플러스의 비극은 인수금의 30%만으로 사모펀드에 인수를 허용한 2015년 이미 시작됐다"며 "사모펀드가 과도한 레버리지로 기업의 알짜 자산만 챙기고 떠나는 행태를 근본적으로 막아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정무위 국감에서 "김병주 회장은 외국 국적을 가진 '검은머리 외국인'으로, 경제 질서를 해칠 우려가 있는 외국인에 대해 입국 금지를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y2ki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