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인공지능(AI) 번역으로 생산된 콘텐츠로, 원문은 11월 5일자 블룸버그 기사입니다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2008년 미국 주택시장 붕괴를 예측해 명성을 얻은 마이클 버리가 이끄는 사이언 애셋 매니지먼트가 최근 엔비디아(종목코드: NVDA)와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에 대한 주가 하락 베팅을 공개했다. 이는 버리가 소셜미디어를 통해 개인 투자자들에게 시장 과열에 대한 암시적인 경고를 게시한 지 불과 며칠 만의 일이다.
![]() |
| 엔비디아 간판 [사진 = 블룸버그] |
3일(현지 시각) 공개된 13F 규제 보고서에 따르면, 버리는 엔비디아와 팔란티어에 대해 주가 하락 시 수익을 얻는 풋옵션을 매입했다. 보고서에는 그가 할리버튼(HAL)과 화이자(PFE)에 대한 콜옵션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보고된 포지션이 단순한 매수인지, 아니면 하나의 옵션을 사고 다른 하나를 파는 스프레드 거래의 일부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보고서에는 롱 포지션만 기재되기 때문에 스프레드 거래의 숏 포지션은 포함되지 않으며, 롱과 숏 포지션이 상계되지 않는다. 또한, 해당 옵션이 헤지하고 있을 수 있는 주식의 숏 포지션이나 장외 스왑 및 기타 거래 역시 보고서에 나타나지 않는다.
팔란티어는 3일 연간 매출 전망을 상향 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10% 이상 급락했다. 분석가들은 이 기업의 급등한 밸류에이션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엔비디아 역시 하락세를 보이며 최대 2.9%까지 주가가 밀렸다.
팔란티어의 알렉스 카프 최고경영자(CEO)는 4일 오전 CNBC 인터뷰에서 "이론적으로 공매도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고귀한 임무를 수행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삼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카프는 "팔란티어나 엔비디아 같은 기업을 공매도 대상으로 삼는다는 발상 자체가 터무니없다"고 덧붙였다.
최근 수개월간 오픈AI, 엔비디아 등 인공지능(AI) 중심 기업들 간의 순환 거래가 이어지면서 AI 열풍이 인위적으로 부풀려지고 있다는 우려가 투자자들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다.
마이클 버리는 지난주 X(구 트위터)에 영화 속 자신의 캐릭터 이미지와 함께 "때때로 우리는 거품을 목격한다"는 문구를 게시하며 시장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남겼다. 그는 3일 저녁에도 자신의 계정에 엔비디아를 포함한 기업들의 순환 금융 구조에 대한 블룸버그 뉴스의 그래픽 이미지를 추가로 게시했다.
버리의 사이언 애셋 매니지먼트가 엔비디아에 대해 하락 베팅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사이언은 올해 1분기 보고서에서 상장 주식 대부분을 청산하고, 엔비디아를 비롯한 미국 상장 중국 기술기업 몇 곳에 대해 풋옵션을 매입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보고서에는 해당 풋옵션이 "13F 보고 대상이 아닌 롱 포지션을 헤지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는 추가 설명이 포함돼 있었다. 그러나 이번 3분기 보고서에는 이와 같은 문구가 포함되지 않았다.
사이언 애셋 매니지먼트와 엔비디아 측은 이에 대한 논평 요청에 즉각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kimhyun0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