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이자 부담 확대에도 2030세대 주택 매수 더 늘어
정비사업 규제완화, 교통망 개선 등 호재...'더 오른다' 베팅
금융권 대출규제 강화돼 자금여력 부족한 젊은층 매수세 꺾일 듯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기준금리 인상과 가계부채 억제책 등의 영향으로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이자가 최고 5% 수준까지 치솟았지만 2030세대의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주택 매수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한 정비사업 개발 기대감과 광역교통망 개선, 민간 주택시장 규제완화 움직임 등이 호재로 작용하며 매수 심리를 자극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분간 주택 공급난을 쉽게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도 집값 하방을 지지하는 안전장치로 인식된다. 다만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예고된 데다 최근 집값 상승폭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여 '영끌족' 증가세가 둔화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 2030 서울·경기 아파트 매수비중 40% 수준...주담대 상승에도 베팅
29일 금융 및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주택담보대출 이자가 4% 넘어 5%대에 육박했지만 2030세대의 주택 매수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지난 17일 기준 변동금리형(신규 코픽스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2.96~4.52%다. 이는 2주 전인 지난 3일(2.80~4.30%)과 비교하면 최저금리가 0.16%포인트, 최고금리가 0.22%P(포인트)씩 높아진 것이다. 이 추세라면 연내 주담대 대출이자가 최고 5%대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지난달 15개월 만에 기준금리가 인상됐고 대출규제 등으로 주담대 금리가 높아지고 있다"며 "가계부채 억제 기조가 강화된 데다 추가적인 금리인상도 예고돼 연내 주담대 이자가 5%를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2030세대의 주택 매수세는 더 늘어나고 있다. 이들 세대는 청약 가점이 낮아 분양시장을 공략하기가 힘들다. 최근 서울 아파트의 청약 당첨선은 60점이 넘는다. 15년 무주택에 부양가족 3명은 있어야 가능한 점이다. 이런 이유로 기준 주택을 매입하는 젊은층이 늘어나고 있다.
정부가 3기신도시와 택지지구의 사전청약을 확대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만만치 않다. 지난 8월 처음으로 시작한 사전청약에서 계양·진접 등 3기신도시의 경쟁률은 21대 1에 달했다. 청약통장 납익액 커트라인이 1945만원으로 16년간 꾸준히 청약금을 넣어야 만들 수 있는 금액이다. 집값 부담에 '탈서울화'가 가속화되면서 서울뿐 아니라 경기도도 2030세대가 주택시장의 가장 큰 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7월 경기도 아파트 매매비중에서 2030이 차지하는 비중이 37.8%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체 아파트 거래량 1만6580건 중 30대가 5047건, 20대가 1233건을 기록했다. 2030세대 거래비중은 3월 34.1%로 연중 최저치를 기록한 뒤 4월 34.6%, 5월 36.8%, 6월 35.3%로 점차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도 중저가 매물을 중심으로 갭투자(전세를 끼고 주택매입)가 늘면서 연중 최고치로 뛰었다. 7월 기준 2030세대 아파트 매매비중은 44.8%로 지난 1월 이후 최고치다. 전달 40.7%와 비교하면 4% 정도 높아진 수치다.
◆ 대출 옥죄는 금융당국...′영클·패닉바잉′ 한풀 꺾인다
최근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와 집값 고점 논란에 영끌족의 고민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일단 시중은행에 대출을 받기가 어렵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옥죄기에 '대출 절벽'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국민은행은 29일부터 집단대출 중 입주 잔금대출의 담보 기준을 '분양가나 KB시세, 감정가액' 중 최저금액으로 변경하기로 했다. 이 경우 대부분 분양가가 기준이 돼 대출 한도가 크게 줄어든다. 추가로 다른 은행의 대출을 국민은행으로 갈아타는 대환대출도 제한하고 일부 대출 상품의 판매도 중단할 계획이다.
NH농협은행은 지난달 23일부터 주택담보대출 등 주택 관련 신규 대출을 중단한 상태다. 우리은행은 낮은 금리가 적용되던 일부 부동산 대출과 신용대출 상품의 판매를 오는 11월 말까지 한시적으로 중단했다. 대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으면 중단 기간을 연장한다.
이처럼 주담대 이자 부담이 커진 것도 문제지만 대출 자체가 막히다 보니 주택 매수자의 고민이 커졌다. 집을 산 사람이나 사려는 사람 모두가 부담인 상황이다.
집값 상승세도 최근 한풀 꺾였다. 한국부동산원이 조사한 9월 셋째 주(20일 기준) 수도권 아파트 매매 가격은 0.36% 올라 지난주(0.40%)보다 상승 폭을 줄었다. 8월 셋째 주부터 이달 둘째 주까지 5주 연속 0.40% 오르며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가장 크게 상승했으나 6주 만에 오름폭이 줄어든 것이다. 서울은 전주 0.21%상승에서 0.20%로 소폭 감소했고, 경기도는 0.49%에서 0.43%로, 인천은 동일한 0.45%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런 이유로 2030세대의 매수 움직임이 위축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집값이 하락하지 않는 상황에서 대출규제, 금리인상 등이 이뤄지면 주택 매입에 자금이 더 필요하다. 투자 리스크(위험)가 더 확대되는 셈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지난 7월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강화로 대출에 부담이 커졌고 금융당국이 추가적인 신규 대출도 규제하고 있어 내 집을 마련하는 수요자들의 자금마련 부담이 커졌다"며 "특히 주택 마련에 대출 비중이 높은 2030세대와 서민들이 주택 매입을 포기하거니 시기를 늦출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