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수익성 '날개'
검색 비즈니스 호조
챗봇 시장 존재감 강화
이 기사는 12월 26일 오후 3시1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에 직격탄을 맞았던 알파벳(GOOGL)이 이른바 '양자 칩' 윌로우(Willow)를 앞세워 연일 강세다.
억만장자 헤지펀드 투자가 빌 애크먼은 알파벳을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기업이라고 추켜세워 월가의 시선을 끌기도 했다.
연말 글로벌 유동성이 미국 자산시장으로 밀물을 이루는 가운데 투자은행(IB) 업계는 2025년 빅테크 가운데 특히 알파벳이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한다.
큰손들은 이미 비중을 확대하고 나섰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16개 대형 헤지펀드 가운데 3분의 2 이상의 업체가 알파벳을 보유, 그 밖에 M7(Magnificent 7) 종목들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미국 법무부와 정치권의 분할 압박에도 알파벳 주가가 40% 이상 오른 데는 큰손들의 '사자'가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최근 분기 15%의 매출 성장을 이룬 업체가 2025년에도 호조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한다. 펀더멘털 측면에서 성장 동력이 강한 데다 주요 빅테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부분도 주가 상승 전망에 힘을 실어준다는 얘기다.
먼저,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 부문의 지속적인 성장이다. 알파벳이 업계 톱3로 꼽히며 수 년간 클라우드 인프라 사업을 추진중이지만 해당 부문에서 순이익을 낸 것은 최근 들어서다.
AI를 탑재한 크롬 [사진=블룸버그] |
구글의 클라우드 사업 부문은 최근 기록한 매출 수준을 기준으로 연간 영업이익에 160억달러를 기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월가는 무엇보다 영업이익률이 업계 1위인 아마존(AMZN)과 2위인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클라우드 사업 부문과 맞먹는 수준까지 향상된 데 커다란 의미를 둔다.
클라우드 사업 부문의 영업이익이 매출액보다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는 것. 시장 전문가들은 해당 사업의 수익성 향상이 이제 시작 단계라고 입을 모은다.
이어 인공지능(AI) 챗봇 시장에서 존재감 확대가 2025년 알파벳의 실적과 주가를 낙관하게 하는 배경으로 꼽힌다.
제미니 모바일 플랫폼 [사진=블룸버그] |
사실 알파벳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의 피해자로 지목됐다. 챗GPT를 포함해 자연어로 검색과 콘텐츠 생성이 가능한 기술이 대중화되면서 구글 검색 시대가 막을 내릴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렸던 것.
하지만 알파벳은 제미니(Gemini)를 앞세워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나섰고, 경쟁 업체의 인공지능(AI) 챗 플랫폼과 겨루기 위한 기술 개발에 커다란 진전을 이뤘다.
본래 바드(Bard)라는 이름으로 2023년 출범했던 알파벳의 인공지능(AI) 챗봇은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오픈AI의 챗GPT를 포함해 빅테크의 경쟁 모델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됐다.
시장 조사 업체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미국의 인공지능(AI) 챗봇 시장에서 제미니의 점유율이 2023년 13%에서 최근 27%로 뛰었다. 뿐만 아니라 챗GPT 시장에서 제미니의 점유율은 31%로 집계됐다.
또 다른 시장 조사 업체 퍼스트 페이지 세이지는 보고서를 내고 알파벳의 제미니가 11월 말까지 3개월 사이 시장 점유율을 9% 확대하며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인공지능(AI) 챗봇으로 등극했다고 전했다.
알파벳이 인공지능(AI) 챗봇 기술로 향후 어떤 비즈니스 전략을 취할 것인지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2025년과 이후까지 시장의 주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월가는 기대한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업체는 앤트로픽의 클로드(Claude)를 이용해 제미니의 기능을 강화하는 등 기술적인 측면의 진전과 시장에서 존재감 확대를 위해 잰걸음이다.
기존의 핵심 비즈니스인 검색 부문 역시 앞으로 수 년간 두 자릿수의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월가는 예상한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가 본격 도래했지만 구글 검색이 상당 기간 이익 창출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시장 조사 업체 글로벌스타츠에 따르면 구글 검색이 전세계 웹 검색 시장에서 90%에 달하는 절대적인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해당 사업 부문은 알파벳의 전체 매출액 가운데 절반 이상을 창출한다.
시장 전문가들은 웹 검색 시장이 성숙기로 접어들고 있지만 침체에 빠질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데 한 목소리를 낸다. 아울러 검색 광고 시장 역시 2032년까지 연평균 11%의 성장을 이어가는 시나리오가 점쳐진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이 구글 검색 비즈니스의 날개를 꺾어 놓을 것이라는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논리다.
또 한 가지 주목한 점은 구글이 기존의 검색 서비스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른바 AI 오버뷰(AI Overviews)를 통해 전혀 새로운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는 복안이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은 이용자의 질문이나 요구 사항에 직접적인 답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검색 서비스와 차별화된다. 관련 기사나 블로그 등 링크를 제공하는 기존의 웹 검색 서비스에 비해 한층 편리해 졌다는 평가다.
기존 검색 서비스에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합한 형태의 차세대 모델이 당장은 크고 작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지만 조만간 온전한 기능을 갖출 것으로 월가는 기대한다.
검색 엔진 독점 논란이 뜨겁게 달아올랐을 때 애플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얼마의 대가를 지불하더라도 빙(Bing)을 아이폰의 디폴트 검색 엔진으로 탑재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구글의 검색 엔진이 그만큼 강력하다는 얘기다.
전세계 90%의 점유율을 구축한 검색 서비스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 알파벳이 시장 입지를 한층 강화할 것으로 시장 전문가들은 예상한다. 거대한 이용자 기반과 기술력을 근간으로 검색 시장은 물론이고 광고 시장에서도 이익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얘기다.
챗GPT의 직접적인 타격을 우려하는 의견과 달리 최근 분기 알파벳의 검색 비즈니스는 전년 동기 대비 12%에 달하는 매출 성장을 나타냈다.
구글은 지금까지 검색 결과의 약 20%에만 광고를 게재하고 있는데 앞으로 'AI 오버뷰' 기능에 새로운 유형의 광고가 탑재되면 새로운 수익원이 될 전망이다.
새로운 경쟁자의 등장에 대해서도 강세론자들은 오히려 구글의 반독점 소송에서 심각한 처벌을 피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shhw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