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경제 10대 국 중 가장 높은 사망률
[서울=뉴스핌] 이동훈 선임기자 = 국내 건설업 분야의 사고 사망률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주요 10개 국 평균의 2배에 달하며 가장 위험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영국에 비해서는 6배 이상 높아 안전 관리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2023년 건설업 사고 사망 만인율(근로자 1만 명당 사망자 비율)은 1.59퍼밀리아드(만분율)로 10개국 평균(0.78)보다 약 2배 높았다. OECD 경제 10대 국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치다. 한국의 사고 사망 만인율은 수치가 가장 낮은 영국보다 6.6배 높았다.
![]() |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전 사장이 공사 현장 사망사고와 관련해 사과문을 발표하는 모습 [사진=뉴스핌DB] |
뒤이어 ▲캐나다(1.08) ▲프랑스(0.97) ▲미국(0.96) ▲이탈리아(0.92) ▲스페인(0.72) ▲일본(0.68) ▲호주(0.34) ▲독일(0.29) ▲영국(0.24) 순이다.
같은 해 건설업을 포함한 전체 산업의 국내 사고 사망 만인율은 0.39였다. 이는 OECD 경제 10대 국 중 캐나다(0.50) 다음으로 높은 수치다. OECD 10개 국 모두 건설업의 평균 사고 사망만인율(0.78)은 전체 산업 평균치(0.24)보다 3.3배 높았다.
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선진국에서도 건설산업이 타 산업보다 위험하다"며 "건설업은 옥외 작업, 근로자 고령화, 사업구조의 복잡성 등 예측하기 힘든 다양한 변수로 위험 요인이 많고 불확실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건설업의 사고를 줄이려면 건설 산업과 전체 산업 간 안전수준 격차를 줄이는 산업 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며 "국내 전체 산업의 안전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국가 차원의 종합 전략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