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인사 중단하고 내란혐의자 진급 취소해야"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시민단체 군인권센터가 중령 진급 예정자 중 절반이 계엄에 직접 가담했음에도 진급 예정자로 선발됐다고 밝혔다. 군인권센터는 이들 진급 예정자 중 3명을 내란 특검에 내란모의참여 혐의로 고발할 방침이다.
군인권센터는 15일 서울 마포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방부는 계획된 모든 인사를 중단하고 내란 혐의가 있는 자를 식별해 진급 선발을 취소하라"고 촉구했다.
![]() |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 [사진=뉴스핌 DB] |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지시로 문상호 당시 정보사령관이 정성욱 100여단 2사업단장(육사 52기), 김봉규 중앙신문단장(육사 49기)을 통해 직접 선발한 인원들이 중령 진급 예정자로 선발됐다.
군인권센터는 "계획대로라면 이들은 내란 당시 중앙선관위원회 직원을 체포한 뒤 수도방위사령부 B1벙커로 이송하여 신문하는 작전을 수행할 예정이었으나 계엄 상황이 예상대로 흘러가지 않자 소집 해제됐고 작전이 불발됐다"며 "김봉규·정성욱 대령은 내란중요종사혐의로 기소돼 재판에 회부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또 "육군사관학교 출신인 A 소령은 김봉규·정성욱 대령의 '중·소령급 정보사 장교 35명을 선발해두라'는 지시를 받아 계엄에 참여할 인원을 포섭하는 임무까지 수행했다"며 "계엄 선포 몇 주 전부터 포섭된 장교들에게 전화를 돌리며 협조 의사를 계속 확인하고 관계를 유지했다"고 짚었다.
B 소령은 상급자와 함께 계엄에 가담한 것으로 추정되며 C 소령은 보고조차 없이 단독 행동으로 계엄에 참여했다고 했다.
군인권센터는 이 같은 진급이 국방부와 육군이 '계엄 관련 내용은 진급 심사에 미반영하겠다'는 취지의 지침을 세운 탓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문상호 사령관은 직무 배제에 기소됐지만 정보사 수뇌부에는 여전히 노상원 전 사령관을 따랐던 내란 세력에게 장악돼 있으며 육군과 국방부가 이를 묵인해 줌으로써 내란의 핵심이었던 정보사에서 대놓고 내란 봐주기가 진행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군인권센터는 이날 박 모 소령, 이 모 소령, 권 모 소령을 내란 특검에 내란모의참여 혐의로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chogiza@newspim.com